top of page

Playing Blind
Vue d'exposition personnelle Playing Blind – Edges of Illusions, TEMI Artist Residency, Daejeon, KR

ceramic installation, 2019
Ensemble des pièces, 70x53x30(cm), 65x45x31(cm)


Playing Blind – Edges of Illusions
The exhibition < Playing Blind - Edges of Illusions> presents the imagery that stems from the artist’s personal emotions and unique mind which she felt when she came back to her hometown as a middle-aged person and looked back on the yard where she used to play as a child. This exhibition consists of works that reflect the unknown nightmare-like fear and dread from childhood, which represent the boundary between the reality and illusions that she can no longer tell whether they happened for real or not. The artist sees these with her adult point of view as a person experiencing the passing of time and life, no longer as a child.
A noteworthy point is that we still feel anxious and scared without a reason and yet still cherish our dreams (illusions) just as we used to. However, it is different in that the edges of the illusions have now become clearer than they ever were. We are now also in the progress of learning unavoidable loss of things that fade and disappear with time. Therefore, we strive to feel joy of life. To everyone, childhood days are memories, dreams. And they are an illusion and a nightmare just as much as the dreams we had as a child were. Ultimately, they are, again, yearning for life, and irreversible place and mind; they are longing for mother’s younger days and a yard that we can no longer play in, and faded hearts that can no longer be recovered.

Myung-Joo Kim
Solo Exhibition < Playing Blind - Edges of Illusions> , 2019
Art Lounge at Artist Residency TEMI, Daejeon Culture and Arts foudation




< Playing Blind > - 환상의 경계선
 

언뜻 보면 커다란 두 개의 고깃 덩어리같은 개체 들이 덩그러니 놓여 있다.
붉게 물든 낙엽같은 머리칼을 길게 내려뜨리고, 또는 생명의 상징인 피에 흠뻑 적셔진 몸을 가진 채, 가지런히 다리를 모으고 기도하는 중이다 .  
숙명적인 의식을 치르는 중일지도 모르겠다. 서로를 응시하거나 또한 그렇지 않는 모습으로 침묵 속 긴장감이 흐른다.

우리는 계속 같이 놀 수 있을까.

 

이번 작업은 중년이 되어 돌아온 고향에서 작가가 어릴 적 뛰놀던 마당을 떠올려보며 느껴지는 마음을 형상화하여 표현한 작품들이다.
유년 시절에 겪는 악몽과 같은 알 수 없는 두려움, 공포심, 때론 꿈인지 실제였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 환상과의 경계들을 더 이상 어린아이의 시선이 아닌 시간과 삶의 흐름을 경험하고 있는 자의 눈으로 바라본 작업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기(特記)할 만한 것은 우리는 아직도 이유없이 불안하고 두려우며 그때처럼 각자의 꿈(환상)을 때론 간직하고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 환상의 경계가 과거보다 선명하고 더불어 유년기 때는 몰랐던, 시간에 따라 퇴색되어 사라질 수 밖에 없는 존재의 피할 수 없는 상실감을 알아가는 과정에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오는 삶에의 환희를 더 느끼려 애쓰고 있다는 점이다. 누구에게나 유년 시절은 추억이고 꿈이었으며 어릴적 꿈처럼 환상이고 악몽이다. 결국은 삶의 대한 그리움, 되돌릴 수 없는 장소이며 마음이다; 어머니의 젊음같은 그리움이며 다시 뛰어 놀 수 없는 마당이며 회복할 수 없는 희미해진 마음들이다.

2019, 작가노트 중, 대전

bottom of page